
Network Policy 개념, 실습
WEB, WAS, DB 네임스페이스 생성. WEB <=> WAS <=> DB 이렇게만 통신이 가능해야함 WEB - 80 포트로만 ingress, egress WAS - 8080 포트로만 ingress, egress DB - 3306 포트로만 ingress, egress 1. Network Policy란? N...
WEB, WAS, DB 네임스페이스 생성. WEB <=> WAS <=> DB 이렇게만 통신이 가능해야함 WEB - 80 포트로만 ingress, egress WAS - 8080 포트로만 ingress, egress DB - 3306 포트로만 ingress, egress 1. Network Policy란? N...
공식문서 - https://kubernetes.io/ko/docs/tasks/run-application/horizontal-pod-autoscale/ Kubernetes의 Horizontal Pod Autoscaler (HPA)는 클러스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스케일링을 자동화하는 메커니즘입니다. HPA는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등 ...
저번 시간에 route53을 통해 구매한 kkamji.net 도메인을 해당 블로그가 사용하기 위해 route53을 사용해서 DNS Record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해당 과정을 거치면 https://www.kkamji.net, https://kkamji.net 두 개의 방법으로 블로그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주요 DNS Record...
이번 시간에는 예전 부터 미뤄왔던 깃허브 아이디를 변경하였고, 해당 이유 때문에 블로그 도메인 주소가 바뀌게 되었습니다. war-oxi.github.io > kkamji.net 이 참에 원하는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 aws에서 도메인을 구매했고, 도메인을 구매하는 과정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도메인 구매하기 Route53에 들어간 ...
AWS 강의실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여 MicroK8s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하기 세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온라인 상에서 다수를 대상으로 발표를 진행했던 경험이 없던 터라 긴장도 많이했고, 준비한 내용을 빠짐없이 발표를 하고 싶다는 욕심 때문에 발표 진행이 매끄럽지 못했습니다.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았던 발표였습니다. 하지만 발표를 준...
AWS Summit은 AWS에서 주최하는 국내 최대의 IT 클라우드 행사입니다. 클라우드 기술을 선도하는 다양한 회사들이 참여하며, 다양한 성공 사례와 최신 기술 트렌드를 접할 수 있습니다.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술과 현재 산업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의 현재 생각만을 고집하지 않고, 다양한 성공 사례를 접하여 더 나은...
RBAC(Role-Based Access Control)이란 사용자의 역할(role)에 따라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조직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의 역할을 정의하고, 각 역할에 권한을 부여하여 접근 제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BAC을 사용해서 클러스터의 특정 namespace에 특정 권한만 ...
kubectl delete pod simple-webapp-color로 pod를 삭제하려 했는데 바로 삭제가 안되서 기다리면 삭제되겠지.. 하면서 다른 일을 하다가 다음날 확인을 해봤는데 아직도 Terminating 상태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Pod가 Terminating 상태에 계속 머물러 있는 원인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Pod 확인...
Kubernetes Cluster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성능 metrics을 모니터링하고 지표를 저장한 뒤 지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오픈 소스 모니터링 솔루션에는 Metric Server, Prometheus, Elastic Stack, DataDog 등이 있지만 이번 시간에는 가장 기본적인 Metrics Serv...
https://www.whatap.io/ko/blog/77/ 와탭랩스에서 이런 글을 올린 것을 확인했고,, 한번 적용해볼까??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기존의 계획은 Jenkins Server를 하나 만들고 사용할 예정이었지만 우리는 저번에 MicroK8s Server를 만들었고.. 해당 클러스터를 이용해 Jenkins Agent를 Pod로 동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