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 UDP 개념
전송계층에서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TCP와 UDP는 전송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정리한 규약입니다 두 개의 차이점으로는 TCP는 데이터 송수신 전 상대와 3-way-handsahke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그에반해 UDP는 비연결형 통신으로 상대와의 연결이 수...
전송계층에서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TCP와 UDP는 전송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정리한 규약입니다 두 개의 차이점으로는 TCP는 데이터 송수신 전 상대와 3-way-handsahke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그에반해 UDP는 비연결형 통신으로 상대와의 연결이 수...
1.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 LVM이란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에서 Logical Volume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자 프로그램입니다. LVM은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볼륨으로 추상화하여 유연하게 디스크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 LV2를 사용 중 디스크 용...
만약 퇴근 1시간 전. 내가 사무실 컴퓨터 40대에 OS를 설치 해야하는데, USB가 1개 뿐이라면?? 멘붕이 올 수 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입니다. 실습환경 => CentOS, VMware 1. PxE의 개념 기본적으로 서버나 PC를 켜면, 부팅 ...
DNS(Domain Name System)은 IP 주소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별로 쿼리할 수 있게 해주는 계층형 분산 시스템입니다 만약 웹 사이트를 접속해야 할 때 웹 서버의 IP주소를 통해 접근해야 한다면 웹 서버의 IP주소를 모두 외워야 합니다. 네이버를 접속 해야 한다 =>웹 브라우저에 223.130.200.107 IP 주소 ...
Gateway란 Local Network에서 다른 Network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1. Gateway의 개념 Gateway는 OSI 모델의 3계층에서 작동하며, IP 패킷의 헤더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IP주소가 자신의 네트워크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목적지 IP 주소가 자신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경우 G...
NAT란 IP Packet에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가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게하는 기술입니다. 1. NAT의 사용 목적 1.1 IP 주소 절약 NAT 기술을 사용하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호스트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공유기를 사용하여 하나...
1.Routing Protocol이란? Routing Protocol은 Packet이 목적지까지 가는 방법을 결정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Router는 현재 자신에게 들어온 Packet을 Routing Table을 기준으로 다음 홉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는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과 동적 라우팅(Dynamic...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 또는 장치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를 가져야 합니다. 1.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DHCP란 Client가 DHCP Server로부터 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를 동적으로 부여받는 프로토콜입니다. ...
OSI 7 Layer Model은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계층 모델로,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통신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림 1] OSI 7계층 OSI 각 계층 별 역할과 주요 프로토콜, 기능, 장비 <!– 계층 ...
git을 사용하다보면 퍼블릭에 올라가서는 안될 자료들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문제는 .gitignore 파일을 편집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