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OSI 7 Layer Model

OSI 7 Layer Model

OSI 7 Layer Model은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계층 모델로,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통신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림 1] OSI 7계층


1. OSI 각 계층 별 역할과 주요 프로토콜, 기능, 장비

image

<!–계층역할주요 프로토콜기능장비
L7 Application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제공HTTP, FTP, SMTP, DNS, HTTP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 수행  
L6 Presentation데이터의 형식 변환, 인코딩, 암호화 및 해독ASCII, MPEG, SSL, JPEG코드 간의 번역, 인코딩, 암호화, 해당 데이터의 확장자 구분  
L5 Sesstion세션의 시작 및 종료 제어TCP session setup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  
L4 Transport종단 프로그램 사이의 데이터 전달 (컴퓨터사이의 데이터 전송, 수신)
TCP(연결형) UDP(비연결형)
TCP, UDP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 제어
포트 
L3 Network종단 장비 사이의 데이터 전달 (IP 주소 기반)
[Packet 단위]
IP, ICMP, ARP라우팅, Packet의 경로 설정, 흐름제어, 세그맨테이션, 오류제어, 인터네트워킹(주소부여, 경로설정)Router, Switch(L3) 
L2 DataLink직접 연결된 노드 간 데이터 전송
(MAC 주소 기반)
(Frame 단위)
Ethernet, Wi-Fi, PPP, ATM, HDLC맥 주소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통신
(에러검출, 재전송, 흐름제어)
브리지, Switch, Ethernet 
L1 Physical데이터를 전기 신호, 광 신호 또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Bit 단위]
100Base-TX, V.35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후 주고받는 기능케이블, 리피터, 허브–>
  • 상위 계층(Application)에서 하위 계층(Physical) 계층으로 내려올 때 Header가 계속해서 추가됩니다.
    (Packaging, Encapsulation)
  • 반대로 하위 계층(Physical)에서 상위 계층(Application)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는 각 계층에 해당하는 헤더가 하나씩 사용됩니다.
    (Depackaging, Decapsulation)



궁금하신 점이나 추가해야할 부분은 댓글이나 아래의 링크를 통해 문의해주세요.
Written with KKamJi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