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Virtualization)의 종류와 개념
1. 가상화란?
가상화란 IT 인프라의 다양한 측면을 추상화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가상화의 종류
2.1. 서버 가상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가상 서버로 분할합니다. 각 서버는 고유의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물리적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습니다.
 이를 통해 자원 활용도를 최적화 하고, 서버의 관리와 배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2.2. 네트워크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는 물리적 네트워크 리소스를 추상화하여 여러 개의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합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들은 물리적 네트워크의 제약 없이 구성되며, 보안, 속도, 자원 할당 등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멀티테넌시 환경과 복잡한 데이터 센터 관리에 유용합니다.
2.3. 스토리지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는 물리적 스토리지 자원을 하나의 가상 스토리지 풀로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스토리지 자원의 할당과 관리를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백업, 복구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2.4. 데스크탑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는 사용자의 데스크탑 환경을 서버에 가상화하여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서든, 어떤 장치를 사용하든 자신의 데스크탑 환경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원격 근무 지원, IT 자원의 중앙 관리, 디바이스 독립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2.5.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애플리케이션 가상화는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머신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에서 실행되며,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를 간소화하고, 소프트웨어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6. 데이터 가상화
데이터 가상화는 여러 소스의 데이터를 단일 인터페이스 또는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통합 및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데이터 소스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가상화는 데이터 통합, 실시간 데이터 액세스, 데이터 품질 관리에 유용합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추가해야 할 부분은 댓글이나 아래의 링크를 통해 문의해주세요.
Written with KKamJi